1. Metformin (Biguanides)
1)기전: ①간에서 glucose 생산을 억제한다. ②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한다.
2)특징: 일반적으로 저혈당을 유발하지는 않는다. 고지혈증을 개선시키고 약간의 체중감소를 가져온다.
3)부작용: ①위장관계 증상(오심, 구토, 설사)
②유산증(Lactic acidosis): Risk factor 있는 환자에서는 이 약 피해야됨.
4)금기: Lactic acidosis 위험 인자 있는 환자, 조영제를 사용하는 경우, 임신
위험인자: 신기능 저하(남 Cr>1.5mg/dL, 여 Cr>1.4mg/dL), Congestive heart failure, 간질환, 저산소증, Acidosis 환자
2. Sulfonlyurea(인슐린 분비촉진제): Glimepride, Glipizide, Glibenclide(glyburide)
1)기전: 췌장의 beta cell에 있는 ATP-sensitive potassium channel을 자극하여 인슐린 분비를 자극한다.
2)특징: 최근엔 대부분 2세대 sulfonlyurea를 사용하고 있음. 1세대에 비해 작용시간이 짧고 저혈당 부작용이 적다.
3)부작용: 인슐린을 분비하게 하는 약이므로 인슐린의 부작용과 비슷하다. 저혈당이 올 수 있고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
4)금기: 콩팥기능상실, 간부전, 임신
3. DPP-4 inhibitor(Incretins): Siptagliptin, Saxagliptin, Linagliptin, Vildagliptin
1)기전: Incretin이라는 위장호르몬은 혈당이 오르기 전 췌장의 Beta cell에서 인슐린의 분비를 자극한다. 이런 Incretin의 대표적인 물질이 GLP-1과 GIP다. 이 두 물질은 DPP-4에 의해서 분해된다. 이 분해를 막아줘서 인크레틴 효과를 증가시켜준다.
2)특징: 저혈당이나 체중증가 없이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켜준다.
4. GLP-1 agonist: Exenitide, Liraglutide
1)기전: GLP-1이라는 Incretin의 작용을 늘려 인슐린 분비를 자극한다.
2)특징: 피하주사로 투여한다. 체중 증가 대신 오히려 체중 감소 및 식욕 억제의 효과가 있다.
5.SGLT2 (Sodium-Gluocse Co-Transporter 2) inhibitor: Canagliflozin, Dapagliflozin, Empagliflozin
1)기전: 콩팥의 근위 세뇨관에 위치한 나트륨-포도당 수송체를 막아 포도당의 제흡수를 억제시켜서 소변으로 포도당 배출을 증가시킨다.
2) 특징: 인슐린 작용과는 무관하다. 소변으로 포도당이 빠져나가는 거다.
3)부작용: 요로감염, 비뇨기계 감염이 증가한다. 이뇨 효과로 인해 intravascular volume이 감소한다.
6.alpha-glucosidase inhibitor: Acarbose, miglitol, voglibose
1)기전: 장내에서 다당류가 단당류로 분해되는 것을 막아 당의 흡수를 제한한다.
2)특징: 식전에 꼭 먹어야된다. 저혈당을 일으키는 약물은 아니다.
3)부작용: 위장관계 증상들
4)금기: 염증성 장질환, 위마비, 신기능 저하(Cr>2.0mg/dL)
7.TZD(Thiazolidinediones): Rosiglitazone, Pioglitazone
1)기전: PPAR-gamma nuclear receptor agonist로 작용한다. 인슐린 레벨을 떨어뜨리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킨다.
2)부작용: 체중증가, 말초부종 및 Congestive heart failure, 간독성, 지질성분 변화
3)금기: 간질환, Congestive heart failure 환자, 임신
8. 인슐린
1형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부족이 원인이므로 치료 초기부터 인슐린을 줘야 한다.
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도 초기 치료로 인슐린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1)Diabetic ketoacidosis, 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e 등의 급성 합병증
2)간이나 콩팥에 기저 질환이 있을 때
3)급성 질환을 앓아 인슐린 요구량이 증가할때
4)임신 시
5)식사, 운동요법 및 경구제제로 혈당 조절이 안 될 때
6)마른 체형 또는 심한 체중감소가 있을 때
'의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기종(Emphysema) 영상소견 (1) | 2022.12.29 |
---|---|
기관지협착(Bronchial stenosis) 영상소견 (0) | 2022.12.27 |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영상소견 (0) | 2022.07.21 |
폐암 영상소견 (0) | 2022.07.20 |
폐결절 양성 vs 악성 영상소견 (0)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