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공부

폐렴 영상 소견

1. 폐엽성 폐렴(lobar pneumonia)

 

-폐포성(alveolar) 병변의 형태로 보이는 폐렴이다. 염증성 삼출물과 부종액이 폐포에 차고 기관지나 간질조직에는 별로 변화가 없다.

 

출처: Lobar pneumonia, radiopaedia.org

 

 

-폐렴연쇄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가 가장 흔하고 폐렴간균, 포도상구균, 폐결핵, 레기오넬라 등이 흔하다.

 

-X-ray상 폐포를 채우는 직경 4-10mm의 결절음영이 나타나고 염증이 진행함에 따라 서로 퍼지고 융합하여 경계가 불분명한 음영을 보인다. 증가된 음영 내부에는 공기관지조영상(air bronchogram)이 보이고 주위 구조물과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염증반응이 심해서 경계를 이루는 엽간열리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원인균으로 폐렴간균(Klebsiella), 폐렴연쇄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이 있다.

 

출처: Klebsiella pneumonia, radiopaedia.org

 

 

2. 기관지 폐렴(bronchopneumonia)

 

-급성 기관지염 및 세기관지염으로 시작해서 주위 폐포로 파급 진행하는 폐렴이다.

 

출처: Bronchopneumonia, radiopaedia.org

 

-기관지 주위에 다발성으로 결절 모양과 경화소견을 보인다.

 

-폐렴연쇄구균이나 황색포도상구균이 대표적인 원인균이다.

 

 

 

3. 간질 폐렴(interstitial pneumonia)

 

-간질조직에 미만성 부종과 염증세포 침윤이 보인다.

 

출처: Usual interstitial pneumonia (UIP), radiopaedia.org

 

-영상소견으로 기관지주위 비후(peribronchial cuffing), 컬리선(kerley line), 혈관 및 기관지의 윤곽 소실, 선상, 결절 및 망상음영이 나타난다.

 

-바이러스와 미코플라스마가 대표적인 원인균이다.

'의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