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28)
6-MAX CASH GAME(100BB) BB Range(vs Open Raise) 대부분의 pot이 앞에서 Raise를 하고 BB가 Defense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BB defense 전략은 굉장히 중요하다. Off suit 같은 경우 Ax 같은 좋은 카드라도 Tight한 상대에게는 내가 이기고 있는지 지고 있는지 파악하기가 굉장히 어렵다. 특히 앞쪽 position일수록 tight하게 치므로 Off suit은 왠만한 카드로는 fold하는 게 좋다. Suited같은 경우는 Off suit에 비하면 훨씬 넓은 Range로 play한다. BN 같은 경우 워낙 Wide한 Range로 Open Raise를 하므로 적절히 Defend를 해줘야 된다. Suited가 얼마나 강력한지, 특히 Out of Position일때는 훨씬 좋다는 것을 다시금 느낀다. 당연히 아래 차트는 모든 선수가 정..
고혈압 진단과 치료 보건지소에서 가장 많이 타가는 약이 고혈압약일 것이다. 고혈압을 어떻게 진단하는지, 그리고 혈압약은 어떻게 처방하는지에 대해 간단히 공부해보았다. 공보의 같은 경우 고혈압을 처음 진단받은 환자는 병원으로 보내면 된다. 혈압이 다른 원인에 의해서 높아지지는 않았는지 소변검사나 호르몬 검사 등을 통해서 확인해봐야 한다. 일차성 고혈압인 것이 확인이 된 경우, 혈압약을 처방해줄 수 있다. ACEi/ARB, CCB, Diuretics를 1차로 처방하고 혈압 조절이 안 될시 약을 2개, 3개 같이 복약하게 된다. 고혈압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미국 고혈압 진료지침은 최근에 바뀌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여전히 수축기 140mmHg 또는 이완기 90mmHg 이상일때를 고혈압으로 정의하고 있다. "병원에서만 혈압이..
인플루엔자(독감) 진단과 치료 매해 겨울 보건소나 보건지소에 독감 예방접종을 놓으라고 공문이 내려온다. 공보의 같은 경우 예방접종 금기에 해당하지는 않는지 확인해보고 주사해주면 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같은 경우 매해 변이가 일어나고 가끔씩 변이가 크게 일어나서 대유행을 일으키기도 한다. 초등학생 때 신종플루라고 해서 온 학교가 들썩했던 기억이 난다. 겨울에 인플루엔자로 의심되는 환자가 왔을 경우 신속항원검사 또는 PCR이 가능한 병원으로 보내는 것이 바람직해보인다. 다만, 증상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약물 정도는 처방해줄 수도 있을것 같다. 오늘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서 생기는 독감을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는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공부해보았다. 언제 독감을 의심해야 하나요? 매해 겨울 인플루엔자가 유행하는 시기에 열이 나거나 ..
6-MAX CASH GAME(100BB) SB Range(vs Open Raise) SB는 Call을 할 경우 BB가 여전히 남아있고 또 Reraise를 해서 squeezing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또한, Position도 가장 안 좋기 때문에 Tight한 Range에서 3-Bet하는 것이 좋다. HJ이나 LJ 상대로는 KQo도 fold할 정도로 굉장히 Tight하다. 포지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금 느끼게 된다. 1. SB(vs LJ Open Raise) 2. SB(vs HJ Open Raise) 3. SB(vs CO Open Raise) 4. SB(vs BN Open Raise)
6-MAX CASH GAME(100BB) BN Range(vs Open Raise) BN은 어느 자리와 상대하더라도 Position이 있기 때문에 앞쪽 자리와 다르게 콜을 할 수도 있다. 콜하는 range는 109s와 같이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패들이다. 1. BN(vs LJ open raise) 2. BN(vs HJ open raise) 3. BN(vs CO open raise)
6-MAX CASH GAME(100BB) CO Range(vs Open Raise) HJ에 비해서 신경 써야하는 사람이 한명 줄었긴 했지만 여전히 굉장히 Tight한 range로 플레이해야 한다. Call보다는 Raise가 바람직해보인다. 1. CO range(vs LJ Open Raise) 2. CO range(vs HJ Open Raise)
가려움증 감별진단과 치료 여기저기가 가렵다면서 보건지소에 찾아오는 분들이 꽤나 많다. 가려움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들이 워낙 많다보니까 헷갈릴 수 있다. 하지만, 공보의는 피부질환인지 전신질환인지만 잘 구분해주면 된다. 피부질환 같은 경우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 크림 등으로 치료해주면 된다. 전신질환이 의심될 때는 피검사(간기능검사), 소변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는 병원으로 보내면 된다. 오늘은 가려움증이 있을 때 어떻게 감별진단하고 치료를 하는지에 대해서 간단히 공부해보았다. 피부가 가려울 수 있는 병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피부질환들일 때 당연히 가려울 수 있다. 하지만, 이외에 전신질환이 있을 때도 가려울 수 있으므로 반드시 감별진단해야 한다. 1. 피부질환: 건선, 습진, 옴, 두드러기 등 2. 전신 질환: 담즙정체..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과 치료 보건지소에 가끔씩 손가락 마디들이 붓고 아프다면서 환자가 온다. 류마티스 관절염이 의심될 때 공보의들이 보건지소에서 진단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다만, 류마티스 관절염이 의심될 때 꼭 병원으로 보내서 진단을 위해 필요한 검사들을 받고 치료를 받을 수 있게 설명해줄 필요가 있다. 오늘은 류마티스 관절염을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하는지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 근데 류마티스 관절염은 도대체 어떤 병이에요? 주로 작은 관절 쪽에서 나타나는 면역반응에 의해 생기는 염증성 질환이다. 쉽게 말해서 우리 몸의 염증 세포가 여러 관절에서 공격한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 어떨 때 류마티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나요? 손가락이나 발가락 쪽 관절이 아프고 붓는 증상이 6주 이상 지속시 의심해 볼 수 있다. 여기저기 관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