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공부

(83)
무좀(백선) 진단과 치료 의대 졸업 후 보건지소에 배치돼 가장 당황한 것이 피부 환자들이다. 무좀인지 습진인지 잘 모르겠고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서 처음에는 멘붕이었다. 잘 모르겠는 경우 피부과에 가보라고 하는 것이 좋겠지만... 섬 특성상 피부과에 가기 위해서 3-4시간은 가야되므로... 무좀(백선)이 의심될 경우 발에만 있는 경우 도포용 항진균제를 바르면 되고 손톱이나 발톱까지 있을 경우 보통 경구용항진균제와 국소도포용 항진균제를 동시에 사용하는 병합치료를 보통 한다. 백선은 사타구니, 머리, 얼굴 등 다양한 부위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오늘은 가장 흔하고 중요한 발백선과 손발톱백선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 발백선은 어떤 식으로 나타나나요? 4번째 발가락과 5번쨰 발가락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피부가 벗겨지는 경우가..
긴장형 두통 진단과 치료 보건지소에 머리가 아프다고 오는 환자들이 많은데 오늘은 그 중 긴장형 두통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 공보의는 두통 중 응급상황일 수 있는 경우(Red Flag)를 잘 감별하고 필요시 병원에 뇌 CT, 뇌 MRI 검사를 하로 보내면 되겠다. 긴장형 두통이 심한 경우에는 Acetaminophen이나 빠르게 효과가 나타나는 NSAID(Ibuprofen)을 줄 수 있다. 두통이 계속 반복되는 경우 예방적 치료로 Amitriptyline 같은 항우울제를 줄 수 있다. 긴장형 두통은 어떤 식으로 나타나나요? 양쪽 머리가 조이는 듯한 느낌으로 통증이 있다. 다만, 편두통에 비해서 죽을만큼 아픈 정도는 아닌 경우가 많다. 또한, 걷거나 계단을 오르는 등 움직인다고 통증이 심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구역이나 구토는 대부..
편두통 진단과 치료 보건지소에 머리가 아프다고 오시는 분들이 많다. 오늘은 그 중 편두통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 공보의는 뇌졸중 같은 응급 상황이 아닌지 체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다. 이후 편두통이 의심되면 급성기 치료로 NSAID나 Acetaminophen을 주고 구토를 할 경우에는 domperidone과 같은 항구토제를 주고 외부 병원으로 전원시키면 되겠다. 예방치료로 Beta-blocker를 시행한다는 점도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편두통은 보통 어떤 식인가요? 치료하지 않았을 때 머리 아픈 것이 4-72시간 지속된다. 한쪽에 치우쳐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박동하는 느낌이 든다. 죽을 정도로 아픈 경우가 대부분이다. 걷거나 계단을 오르는 것과 같은 활동에 의해서 두통이 심해져서 이를 회피하게 된다. 머리가 아픈..
안구건조증 진단과 치료 보건지소에 눈이 불편하다면서 오는 환자들이 생각보다 굉장히 많다. 지소 특성상 안과 검사가 불가하므로 안과로 보내는 것이 가장 좋다만은......역시나 섬 특성상 할머니들은 절대 육지로 안 가려고 한다. 안구건조증이 의심되는 환자의 경우 히알루미니 점안액 같은 인공눈물을 처방해볼 수 있고 스테로이드 점안제 또한 효과가 좋을 수 있다. 다만, 스테로이드 점안액 같은 경우 감염을 악화시킬 수 있고 안압 상승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감염에 의한 것은 아닌지 꼭 체크해보고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안구건조증이 있을 때는 어떤 증상들이 있나요? 눈이 간지럽고 모래가 끼인 것 같은 느낌이 들 수 있다. 눈을 자주 깜빡거리게 되고 그 결과 눈이 피곤할 수 있다. 이물감이나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눈..
급성 설사(2주 미만) 진단과 치료 보건지소에 설사로 오는 환자 분들이 더러 있다. 우리 지소 같은 경우에는 포타겔현탁액(dioctahedral smectite)를 구비하고 있어서 필요시 처방하고 있다. 공보의 같은 경우 염증성인지 비염증성인지 파악을 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염증성 설사 같은 경우에는 추가적인 검사를 할 수 있는 병원으로 보내고 필요시 항생체 처방을 고려해볼수 있겠다. 오늘은 급성 설사를 어떻게 치료하는지 공부해보았다. 설사 환자에서 어떤 것을 파악해야하나요? 탈수 정도, 설사 기간, 설사 횟수, 설사 양상, 동반 증상(발열, 복통, 구토, 의식변화, 전신 증상 등), 여행력, 섭취한 음식, 복용 중인 약물을 파악해야 한다. 이후에 가장 중요하게 확인해야 할점은 염증성 설사인지 비 염증성 설사인지를 감별해야 한다. 탈수나 ..
습진 진행단계와 치료 피부가 붉게 변하고 간지럽다면서 환자가 오는 경우가 있다. 습진질환에는 접촉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지루피부염, 건성습진 등 다양하게 있다. 보건지소에서 일하는 공보의 같은 경우 원인질환을 정확하게 감별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지만 치료는 국소 스테로이드제를 주로 하며 필요시 항히스타민제나 경구 스테로이드를 적절하게 조합하면 된다. 습진이 어떻게 진행해 나가는지, 그리고 치료를 어떻게 하는지 간단하게 공부해보았다. 습진은 어떤 단계로 진행되나요? 급성기에는 홍반이나 수포가 있으며 많이 간지러워한다. 진물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이후 아급성기에는 진물이 줄어들고 병변 표면이 건조해지며 경계가 불분명한 홍반 인설이 생긴다. 만성기에는 병변이 건조해지고 인설이 있으며 태선화가 일어날 수 있다. 국소 스테로이드는 ..
통풍 진단과 치료 보건지소에 가끔씩 통풍으로 발가락 부위나 발목이 아프다고 오는 환자가 있다. 이럴 때는 NSAID를 주고 혈청 요산(Uric acid) 수치와 영상검사가 가능한 타원으로 전원하면 된다. 통풍 환자를 언제 의심해야 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치료해야 되는지 공부해보았다. 통풍 환자는 언제 의심해야 되나요?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를 침범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이외에도 발목, 발등 통증이 있는 경우도 있다. -통풍이 있을 때 1.붉게 변하고 2.눌렀을 때 매우 아파하며 3. 걷는 것을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24시간 내에 통증이 최고치에 도달하고 14일 내에 증상이 소실하며 발병 사이사이에는 증상이 없다. -결절(Tophus)이 있는 경우도 있다. -임상소견과 영상이 명확하..
골관절염 진단과 치료 보건지소에서 가장 많이 보게 될 환자가 골관절염 환자일 것이다. 나이 드신 할머니들은 다들 무릎이나 허리가 아프다면서 방문한다. 공보의 같은 경우 X-ray나 다른 검사들을 통해 골관절염 진단을 받은 환자들만 케어해주면 되고 진단되지 않은 분들은 타원으로 전원시키면 된다. 대부분 Acetaminophen이나 NSAID를 드리고 NSAID 같은 경우 소화기 합병증 때문에 PPI를 같이 처방해드리는 경우가 많다. 골관절염이 있을 때는 보통 어떤 모습들을 보이나요? -전형적으로 활동하면 악화되고 쉬면 나아지는 관절통(Joint pain)을 보인다. 깊고, 콕콕 쑤시며 잘 국소화되지 않는 양상의 통증을 보인다. -움직이지 않으면 뻣뻣해지고 지속 시간은 짧다(30분 이하). cf.류마티스 관절염은 1시간 이상 지..